목록oracle (28)
나의 개발일지

숫자 함수 숫자를 인수로 사용하며 결과로 숫자를 반환 함수 설명 ROUND(n, interger) 숫자 n을 지정된 자릿수까지 남기고 반올림 TRUNC(n, interger) 숫자 n을 지정된 자릿수까지 남기고 절삭 MOD(m, n) 숫자 m을 n으로 나눈 나머지를 반환 ABS(n) 숫자 n의 절댓값을 반환 ROUND 와 TRUNC 주어진 숫자에 특정 자릿수 이하를 반올림 또는 버림 자릿수에 지정하는 수 0 또는 지정이 되지 않으면 일의 자리 양수이면 소수점 아래 음수이면 소수점 위의 자리 ROUND 함수 예 SELECT ROUND(56.834, 2), ROUND(56.834, 0), ROUND(56.834, -1) FROM DUAL; TRUNC 함수 예 SELECT TRUNC(56.834, 2), TR..

함수의 개념 인수를 입력하면 함수가 적용된 결과를 반환 함수의 용도 데이터에 대해 계산을 수행할 경우 각각의 데이터 항목을 변경할 경우 출력할 날짜형식을 변경할 경우 출력할 숫자에 형식을 지정할 경우 Column의 데이터 유형을 변경할 경우 행 그룹의 결과를 출력할 경우 단일행 함수 데이터를 조작해 보거나 데이터 유형 수정 가능 열 이름 또는 표현식이 인수 단일행 함수의 종류 문자 함수 숫자 함수 날짜 함수 변환 함수 일반 함수 문자 함수 문자를 입력 값으로 받으며 문자 또는 숫자 값을 반환 대소문자 조작 함수 LOWER(char) : 대소문자 또는 대문자 문자열을 소문자로 변환 UPPER(char) : 대소문자 또는 소문자 문자열을 대문자로 변환 INITCAP(char) : 각 단어의 첫 문자는 대문자..

ORDER BY 특정 순서로 행을 표시 SQL 문의 가장 끝에 위치 행을 오름차순(기본 순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 선택적으로 ASC | DESC 지정 여러 열 기준의 정렬 ORDER BY 절에 쉼표로 열 이름을 구분하면서 여러 열을 지정 결과는 첫 번째 열 기준으로 정렬된 다음 그 결과 내에서 두 번째 열을 기준으로 정렬하는 방식 ASC, DESC는 열 이름마다 별도 지정 ORDER BY 절에 지정가능한 정렬 조건 열이름 또는 표현식 별칭 SELECT 절에 나열된열 목록을 기준으로 한 열 위치 값 사원 정보를 입사일이 가장 빠른 사원부터 순서대로(오름차순) 출력 SELECT emp_name, position, dept_id, hiredate FROM y_emp ORDER BY hiredate; 가장 ..

WHERE WHERE 절을 사용하여 쿼리에 반환되는 행을 제한 FROM 절 다음에서 조건을 표현하기 위해 열 이름, 표현식, 비교 연산자 및 상수로 구성 단일 SELECT 문장에서 WHERE 절은 한 번만 사용 가능 WHERE 절에 여러 조건을 지정하기 위하여 AND, OR과 같은 논리 연산자를 사용 WHERE 절의 기본 사용법 열 이름, 비교 조건, 상수 또는 값 목록 등 세 가지 요소로 구성 문자열 및 날짜는 단일 인용부호로 묶어야 하며 대소문자 구분 날짜는 기본 날짜 형식을 사용 100번 부서에서 근무하는 사원에 대한 사번, 이름, 직급, 부서번호를 나열 SELECT emp_id, emp_name, position, dept_id FROM y_emp WHERE dept_id = 100; 직급이 부사..

SQL 문 작성의 규칙과 지침 1. SQL 문은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음 키워드는 대문자로 입력하고 테이블 이름, 열 등은 소문자로 입력하는 것이 일반적 2. SQL 문은 하나 이상의 줄에 입력할 수 있으며 종료문자(;)를 입력하여 명령문을 완료하고 실행 3. 키워드는 줄간 나눠 쓰거나 약어로 쓸 수 없음 4. 절은 읽기 쉽고 편집하기 쉽도록 서로 다른 줄에 쓰도록 권장 5. 좀 더 읽기 쉬운 SQL 문을 작성하기 위해 들여쓰기를 사용 SELECT 표시할 열을 지정하기 위한 SELECT 절 데이터가 저장된 테이블을 지정하는 FROM 절 모든 열 선택 SELECT 뒤에 *을 사용하여 테이블에 있는 데이터의 모든 열을 표시 특정 열의 선택 열 이름을 쉼표로 구분하여 지정 SELECT 절에 출력 결과로 표시할..

트랜잭션 Data를 처리하는 하나의 논리적 단위 트랜잭션의 4가지 특징, ACID Atomicity (원자성) - 트랜잭션의 작업이 부분적으로 실행되거나 중단되지 않는 것을 보장 Consistency (일관성) - 트랜잭션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일관적인 Database 상태를 유지 Isolation (격리성) - 트랜잭션 수행 시 다른 트랜잭션의 작업이 끼어들지 못하도록 보장 Durability (지속성) - 트랜잭션이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영원히 반영 동시성 제어 (Concurrency Control) 동시에 실행되는 트랜잭션 수를 최대화하면서도 입력, 수정, 삭제, 검색 시 데이터의 무결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 동시성 제어가 어려운 이유는 동시성과 일관성이 반비례 관계이기 때문 동시성을 높이려고 Loc..

SQL 명령어 분류 데이터 정의어 : DDL (Data Definition Language) 데이터베이스를 정의하는 언어로 생성, 수정, 삭제하는 역할 종류 역할 CREATE -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생성하는 역할 ALTER - 테이블을 수정하는 역할 DROP -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삭제하는 역할 TRUNCATE - 테이블을 초기화 시키는 역할 데이터 조작어 : 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된 레코드를 조회, 수정, 삭제하는 등의 역할 종류 역할 SELECT - 데이터를 조회하는 역할 INSERT - 데이터를 삽입하는 역할 UPDATE - 데이터를 수정하는 역할 DELETE - 데이터를 삭제하는 역할 데이터 제어어 : DCL (Data Control ..

서버 기동 단계shutdown → nomount → mount → open복구 절차를 이해하기 위해 중요한 내용 Shutdown- 오라클 서버가 완전히 종료된 상태 - Database와 Instance가 둘 다 종료된 상태Nomount- Instance가 구성되는 단계 - Parameter file을 필요로 함 - SGA를 설정된 크기로 할당하고 Background Process를 생성 - alert.log file, Trace file (추적 파일)을 오픈 - 작업 내용 : Database 생성, Control file 재생성Mount- Instance와 Database를 매핑하는 단계 - Control file을 필요로 함 - Data file과 Redo Log file의 상태를 확인 (DB name..